전국 지역별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정보 총정보

전국 지역별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정보 총정보

대한민국 지역별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안내

의료 서비스가 필요할 때 어떤 병원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증질환이나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급종합병원이나 종합병원을 찾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대한민국 전국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정보를 지역별로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은 보건복지부가 3년마다 지정하며, 현재는 제5기(2024~2026년) 상급종합병원 47개소가 운영 중입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차이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으로, 보건복지부가 인력·시설·장비, 진료, 교육 등의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지정합니다. 제5기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은 입원환자 중 중증환자 비율 34% 이상(기존 30% 이상)으로 강화되었으며, 의료자원 강화와 국가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표가 신설되었습니다.

종합병원은 100병상 이상의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내과, 외과 등 주요 진료과목을 갖추고 있는 의료기관을 말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은 종합병원 중에서도 특히 고난도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 선별됩니다.

서울권 상급종합병원 (14개소)

서울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4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들 병원은 대부분 대학병원으로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강북삼성병원 (종로구 새문안로 29)
  • 건국대학교병원 (광진구 능동로 120-1)
  • 경희대학교병원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구로구 구로동로 148)
  • 삼성서울병원 (강남구 일원로 81)
  •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대학로 101)
  •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남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서대문구 연세로 50-1)
  •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양천구 안양천로 1071)
  • 서울아산병원 (송파구)
  • 중앙대학교병원 (동작구)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북구)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서초구)
  • 한양대학교병원 (성동구)

경기도 지역 상급종합병원

경기도는 서북부권과 남부권으로 나뉘어 총 9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습니다.

경기 서북부권 (4개소)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인천)
  • 순천향대학교병원 (부천)
  • 길병원 (인천)
  • 인하대학교병원 (인천)

경기 남부권 (5개소)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수원시 팔달구 중부대로 93) - 제5기 신규지정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3)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170번길 22)

강원도 지역 상급종합병원 (2개소)

강원도에는 2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으며, 주로 강릉과 원주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강릉아산병원 (강릉시 사천면 방동길 38)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 (원주시 일산로 20)

충청도 지역 상급종합병원

충청도 지역은 충북과 충남으로 나뉘어 총 4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습니다.

충북권 (1개소)

  • 충북대학교병원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충남권 (3개소)

  • 단국대학교병원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201)
  • 충남대학교병원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 건양대학교병원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로 158) - 제5기 신규지정

전라도 지역 상급종합병원

전라도 지역은 전북과 전남으로 나뉘어 총 5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습니다.

전북권 (2개소)

  • 원광대학교병원 (익산시 무왕로 895)
  • 전북대학교병원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전남권 (3개소)

  • 전남대학교병원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 조선대학교병원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화순군 화순읍 서양로 322)

경상도 지역 상급종합병원

경상도 지역은 경북, 경남 동부, 경남 서부로 나뉘어 총 12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습니다.

경북권 (5개소)

  • 경북대학교병원 (대구)
  •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대구)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대구)
  • 영남대학교병원 (대구)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

경남 동부권 (5개소)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부산) - 제5기 신규지정
  • 동아대학교병원 (부산)
  • 부산대학교병원 (부산)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양산)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부산)
  • 울산대학교병원 (울산)

경남 서부권 (2개소)

  • 경남국립대학교병원 (진주)
  •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창원)

지역거점공공병원 현황

전국에는 지역거점공공병원으로 지방의료원과 적십자병원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 병원은 지역 주민들에게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주요 지방의료원

  • 서울의료원 (종합병원)
  • 경기도의료원 (수원, 이천, 포천, 안성, 의정부, 파주)
  • 강원도 의료원 (원주, 강릉, 속초, 영월, 삼척)
  • 충청도 의료원 (청주, 충주, 천안, 공주, 홍성, 서산)
  • 전라도 의료원 (군산, 남원, 순천, 강진, 목포)
  • 경상도 의료원 (포항, 안동, 김천, 마산)
  • 제주 의료원 (제주, 서귀포)

적십자병원

  • 서울적십자병원 (종합병원)
  • 상주적십자병원 (종합병원)
  • 인천적십자병원 (병원)
  • 통영적십자병원 (병원)
  • 거창적십자병원 (병원)
  • 영주적십자병원 (종합병원)

병원 선택 시 고려사항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진료과목 및 전문성: 본인의 질환에 맞는 전문 진료과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2. 접근성: 거주지에서 얼마나 가까운지, 교통편은 어떤지 고려합니다.
  3. 의료진 및 시설: 해당 분야의 전문 의료진과 최신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4. 응급 의료 서비스: 응급 상황에 대비한 응급실 운영 여부를 확인합니다.
  5. 환자 만족도: 다른 환자들의 경험과 평가를 참고합니다.

최신 병원 정보 확인 방법

상급종합병원은 3년마다 재지정되므로, 방문 전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제5기(2024~2026년) 상급종합병원이 지정되어 운영 중이며, 가톨릭대성빈센트병원, 건양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이 이번에 신규 지정되었습니다. 최신 병원 정보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전국 지역별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정보를 통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적절한 병원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각 지역별로 특화된 의료기관들이 있으니, 본인의 상황과 필요에 맞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에 이상이 있을 때는 가까운 의료기관을 먼저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단을 받고, 필요시 상급종합병원으로 의뢰를 받는 것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이용 방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상급종합병원은 몇 년마다 지정되며, 현재 몇 기 상급종합병원이 운영 중인가요?
A. 상급종합병원은 보건복지부가 3년마다 지정하며, 현재는 제5기(2024~2026년) 상급종합병원이 운영 중입니다.

Q.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에 대해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으로, 보건복지부가 인력, 시설, 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지정합니다. 종합병원보다 고난도 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Q. 제5기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에서 강화된 점은 무엇인가요?
A. 제5기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은 입원환자 중 중증환자 비율이 34% 이상(기존 30% 이상)으로 강화되었으며, 의료자원 강화와 국가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표가 신설되었습니다.

Q. 서울 외에 상급종합병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어디인가요?
A. 경상도 지역에 총 12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있습니다. 이 중 경북권(대구)에 5개소, 경남 동부권(부산, 양산, 울산)에 5개소, 경남 서부권(진주, 창원)에 2개소가 있습니다.

Q. 최신 상급종합병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최신 병원 정보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